2022년 청년내일저축계좌 혜택│신청│서류│자격요건│중위소득
이제 사회를 처음 알아보는 사회초년생분들 또는 꽤 긴 시간을 직장에 다니고 계신분들은 항상 목돈마련이 고민이 되실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번 청년내일저축계좌가 기회일거라고 확실히 말씀 드릴수 있습니다
이번 청년내일저축계좌에 대한 신청방법부터 서류 그리고 자격요건까지 상세히 말씀 드리려고 합니다
정말 많은분들이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아직까지도 청년내일계좌를 모르시는분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신청날짜가 얼마 안남았고 분명한것은 놓치면 안되는 중요한 혜택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
청년저축계좌는 2022년 07월 18일부터 ~ 2022년 08월 05일까지 입니다 온라인 신청 또는 주민센터를 통해서 가입이 가능하게 됩니다 또한 온라인 신청과 오프라인 신청은 07월 18일 부터 07월 29일까지 5부제 기준으로 신청을 받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출생일로 구분하여서 07월 18일 ~ 07월 29일까지는 5부제를 시행을 하게 됩니다 07월 29일 부터 08월 05일까지는 출생일 기준이 아니라 어떤 날짜에도 신청이 가능하게 됩니다
- 월요일 07월 18일 , 07월 25일 – 출생일 기준 끝자리가 1,6
- 화요일 07월 19일 , 07월 26일 – 출생일 기준 끝자리가 2,7
- 수요일 07월 20일 , 07월 27일 – 출생일 기준 끝자리가 3,8
- 목요일 07월 21일 , 07월 28일 – 출생일 기준 끝자리가 4,9
- 금요일 07월 22일 , 07월 29일 – 출생일 기준 끝자리가 5,0
아래 복지로 사이트를 통해서 신청이 가능하고 00시~ 23시 59분까지 시간 제한 없이 신청이 가능하기 때문에 직장을 다니시는 경우에는 저녁시간때를 이용하여서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내용을 아래에서 확인 해보시고 꼭 먼저 신청하세요
청년내일저축계좌 어떤 혜택 ?
현재 정부에서는 청년들에게 3년동안 본인이 10만원 씩 매달 저축을 하게 되면 제공하는 [본인 저축금액 + 지원금] 더하여서 더 많은 금액을 지원을 해주는 제도 입니다
차상위계층 이하일 경우에는 본인저축금 + 정부지원금 최대 – 1080만원 (적립액 10만원 + 정부지원금 30만)
차상위계층 이상일 경우에는 본인저축금 + 정부지원금 최대 – 360만원 (적립앱 10만원 + 정부지원금 10만원)
위에서 이야기드린 차상위계층 기준은 중위소득에 해당이 됩니다 중위소득 100%이하 -> 차상위계층 이상 , 중위소득 50% 이하 -> 차상위계층 이하 이런 기준으로 이해를 하실수 있는데요 중위소득은 정리해놓은 하단 표를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자격요건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자격요건으로 보면 상세하게 4가지의 조건을 충족만 하면 됩니다
- 신청 나이가 만 19세 ~ 만 34세 청년 / 만약 기초수급자, 차상위계층 ,중위소득 50% 이하는 만 15세~ 39세까지 허용이 됩니다
- 기준중위소득 50% 초과~ 100% 이하일경우 또한 사업소득이 월 50만원 초과 ~ 월 200원 이하일경우 하지만 기초수급자 ,차상위계층 ,중위소득 50% 이하는 현재 일자리를 나가고 있으며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에는 신청이 가능합니다
- 가구소득 기준으로 중위소득이 100% 이하여야 합니다
- 가구재산 기준으로 대도시 3.5억원 , 중소도시 같은경우에는 2억원 , 농어촌 도시는 1.7억원 이하여야만 합니다
만약 자신이 정확히 해당이 되는지 모르겠다면 복지로 -> 자산형성지원 사업 모의계산 또는 모바일 앱 하나원큐 -> 간편조회 서비스를 통해서 미리 자격 확인이 가능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중위소득은 ?
기준중위소득 100%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100% 이하이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아까 말씀드린대로 100% 이하면 모든 인원이 신청이 가능하며 50% 이하면 차상위에 해당이 되기에 더 큰 혜택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50%는 저 금액의 절반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194만4812원 | 326만85원 | 419만4701원 | 512만 1080원 | 602만4515원 | 690만 7004원 |
청년내일저축계좌 준비 서류
청년내일 저축계좌 준비 서류는 크게 3가지의 분류로 나뉘어 지게 됩니다
- 상시근로자 – 재직증명서
- 일용직 근로자 – 고용보험 일용근로내역서 (근로복지공단 발급) 또는 고용임금 확인서,급여이체 내역서 또는 급여통장 입금 내역
- 기타사업소득 – 사업자등록증 또는 위수탁계약서 , 소득금액증명서 (국세청 및 홈택스) 또는 사업소득원천징수 영수증
더욱 자세한 서류 관련 내용은 하단 내용을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기타 궁금한 사항
만약 자신이 대상자라고 하고 신청을 하게 되면 10월 초에 개별적으로 통보가 됩니다 또한 이후 청년통장을 개설을 한다음부터 추가적으로 적립이 됩니다
10월 04일부터 하나은행을 통해서 정확한 가입 절차가 이루어지는데요 하나은행 모바일앱 등을 통해서 가입이 가능할것으로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청년내일저축계좌의 금리도 존재를 하게 되는데요 우대금리를 적용하여서 최대 연 5%까지 적용되어서 추가적으로 받을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문의 사항에 대해서는 하단 복지로 추가정보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