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공무원 정근수당 | 가산금 | 계산방법 | 알아보기

2025 공무원 정근수당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2025년이 되면서 공무원분들의 봉급도 다시 정해졌습니다 공무원분들이라면 정근수당이 무엇인지 알고 계실겁니다 하지만 일반인분들 기준에서는 조금은 생소한것이 사실인데요 어떻게 가산금과 함께 계산을 하는것인지도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무원 정근수당

공무원 정근수당이란 무엇인가요 ?

우선 공무원 정근수당이 어떤것인지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이 수당은 공무원에게 지급이 되는 14개의 수당중에 하나인데요 모든 공무원들에게 적용이 됩니다 (다만 예외는 있습니다) 1년에 2번을 지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1월 지급 , 7월 지급 이렇게 2번의 지급을 가지게 됩니다

2025년 기준으로 정근수당 지급액은 ?

근무 연차정근수당 지급액
1년 미만 근무지급이 되지 않습니다
2년 미만 근무급여의 5%
3년 미만 근무급여의 10%
4년 미만 근무급여의 15%
5년 미만 근무급여의 20%
6년 미만 근무급여의 25%
7년 미만 근무급여의 30%
8년 미만 근무급여의 35%
9년 미만 근무급여의 40%
10년 미만 근무급여의 45%
10년 이상 근무급여의 50%

근무하는 연차수 즉 호봉에 따라서 지급액은 나뉘어 지게 됩니다 최대 10년 이상의 근무하신분들이라면 월급여액의 50%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절대 적지 않은 급여는 맞습니다 더 정확한 규정 내용을 확인을 하시려면 아래 홈페이지를 참고 해주세요


정근수당 및 가산금 계산 방법

정근수당의 계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근수당액 x 실제 근무한 기간/6개월로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산금은 매달 급여와 함께 지급이 되는데요 이것을 표로 말씀을 드리려고 합니다

근무 연차정근수당 가산금 지급액
5년 미만 근무0원
7년 미만 근무5만원
10년 미만 근무5만원
15년 미만 근무6만원
20년 미만 근무8만원
20년 이상 근무10만원

정근수당과 마찬가지로 가산금은 근무하는 연차수에 따라서 늘어나게 됩니다 최대 20년 이상 근무를 하신 공무원분들은 10만원의 가산금을 받게 됩니다 물로 추후에 2025년~ 부터 더 증액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현재 기준에서는 이 금액으로 측정이 되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더욱 정밀한 계산 방법을 알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홈페이지를 참고 해주십쇼

공무원 정근수당 못받는 사람은 누구인가요 ?

각 공무원들의 후보생 예를들어서 경찰대학생 , 사관후보생, 부산관 후보생, 의무경찰 이런 직급에서는 정근수당이 지급이 되지 않습니다

휴직기간 및 감봉기간에는 어떻게 되나요?

만약 휴직기간 또는 감봉기간에는 정근수당이 감소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직위해체기간이 3개월이라고 한다면 최대 봉급의 70%까지도 감소가 될 수 있습니다

육아휴직자라면 중복이 되나요 ?

육아휴직을 하고 계신분들이 계실겁니다 이때 육아휴직수당을 받는 분들이 많이 계실텐데요 이 수당은 하나의 수당이지 급여가 아니기때문에 정근수당은 지급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